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객체 지향 원리 적용
    스프링 2021. 7. 29. 16:53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를 듣고 작성했습니다.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스프링 기본기를 확실히 다질 수 있습니다., 스프링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성장하는 개발자가 되어보세요! 📣 확인해주

    www.inflearn.com


    관심사 분리

     

     

    이전에 좋은 객체 지향 원칙인 SOLID를 배운적이 있다. 

    SOLID를 다형성으로 구현해보려 했지만 OCP(개방/폐쇄 원칙), DIP(의존관계 역전 원칙)을 구현해내기 쉽지 않았다.

     

    OCP 위배 animal을 Cat으로 변경하려 할 때 클라이언트의 코드를 변경해야 함
    DIP 위배 - Animal이라는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Dog등의 구현체에도 의존하고 있음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객체의 관심사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했다.

     

    예를들어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의 공연으로 생각하자.

    '역할'에 해당하는 '배역'과 

    '구현'에 해당하는 '배우'가 있다고 하면

    여기서 실제로 배역을 선택하는 역할을 누가 하는가?

     

    위의 코드를 보면 동물 배역(Animal)을 하는 배우가 다른 배우를 초빙하는 것과 같은 일을 하고 있다. 즉 구현체가 다양한 책임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제 연극을 생각해보자.

    실제 공연이라면 공연 기획자가 존재해서 해당 배역에 맞는 배우를 초빙하고 무대위의 배우는 배역을 수행하는 것에만 집중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코드에 구현하면 외부에서 객체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연결해주는 객체를 생성해주면 된다. 

     

    AppConfig를 사용해 외부에서 관계를 설정해준다.

     

    위의 다이어그램과 같이 설계했다.

    AnimalHospital에서 생성자를 통해 변수값을 받도록 하고 

    AppConfig에서 생성자에 해당하는 값을 만들어서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만들면 된다.

     

     

    AnimalHospital.java
    AppConfig.java

     

     

     

    AppConfig파일에서 역할과 구현 클래스가 명확하게 보이지 않으므로 다음과 같이 리팩터링하자

     

     

     

     

     


     

    관심사 분리를 통한 이점

     

    AppConfig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영역과 객체를 생성하고 구성(Configuration)하는 영역으로 분리해냈다. 

    구성영역(Configuration 영역)을 새로 만듬으로써 Animal을 Dog에서 Cat으로 변경하더라도 구성영역만 영향을 받고 사용 영역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게 되었다. 

     

    관심사를 분리함으로써 SOLID를 충족 할 수 있게 되었다.

     

    Client 코드를 변경할 필요가 없게 되었으니 OSP를 충족하게 되었고, 

    AnimalHospital 클래스가 Dog과같은 구현체까지 의존할 필요가 없게되어서 DIP또한 충족시킬 수 있었다.

     


    IoC, DI, 컨테이너

     

    제어의 역전 IoC(Inversion of Control)

    • 기존에 쓰던 프로그램은 개발자가 객체를 만들고, 만든 객체에서 다른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고, 실행했다.
    • 하지만 AppConfig가 등장한 이후에 구현 객체는 자신의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만 담당한다.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은 AppConfig가 가져간다.
    • 프로그램의 제어의 흐름에 대한 권한은 전부 AppConfig가 가지고 있다.
    • AppConfig의 예를들어 위의 AnimalHospital을 보자
    • AnimalHospital은 자신에게 Dog이 들어올지 Cat이 들어올지 알 지 못하고 자신의 로직만 실행할 뿐이다.
    • 이렇듯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IoC)라고 한다.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 제어의 역전이 발생하면 프레임 워크다
    • 반면에 내가 작성한 코드가 제어의 흐름을 담당한다면 그것은 라이브러리이다.

     

     

    정적인 의존관계와 동적인 의존관계

    의존관계는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와, 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인스턴스) 의존 관계 둘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정적인 의존관계는 기존에 가지고 있는 코드의 구조이다. (클래스 다이어그램)

    정적인 의존관계 다이어그램

     

    동적인 의존관계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생성된 객체 인스턴스가 연결된 의존 관계이다. 

    동적인 의존관계는 실행시점에 외부에서 의존관계 주입을 통해 손쉽게 변경이 가능하다.

     

     

    * IoC컨테이너, DI 컨테이너

    AppConfig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주는 것을 IoC컨테이너 혹은 DI 컨테이너라고 한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