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프링 웹 개발 기초스프링 2021. 7. 13. 20:34
김영한님의 스프링부트 강의를 듣고 작성했습니다.
크게 웹을 개발하는 방법에는 3가지로 나뉜다.
- 정적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 건네주기
- MVC와 템플릿 엔진을 이용해서 데이터 정제 후 클라이언트에 건네주기
- API를 통해 클라이언트에 객체를 건네주기
1. 정적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 건네주는 방법
다른 처리를 할 것 없이
단순히 resources:static/ 폴더에 파일을 넣어준 다음에 URL로 이동하면 해당 파일로 접속하게 된다
처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우선적으로 해당 URL을 처리하는 Controller가 있는지 체크한 뒤에 static 파일이 있는지 체크하고 그 뒤에 URL로 이동하게 된다.
2. MVC와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는 방법
이전에 정리한 내용과 같다. thymeleaf에서 주어진 데이터를 가지고 파일을 정제한 뒤 문서를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3. API
컨트롤러에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붙이게 되면 템플릿 엔진을 사용할 경우 거치는 viewResolver를 거치지 않고 대신에 HTTP의 Body에 문자 내용을 직접 반환한다.
만약 리턴하는 것이 객체라면 변수와 값을 JSON 객체로 만들어 반환하고
단순한 문자열이라면 문자를 반환한다.
원리는 다음과 같다.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지향 원리 적용 (0) 2021.07.29 스프링과 객체지향설계 (0) 2021.07.25 스프링 빈과 의존 관계 (0) 2021.07.16 테스트와 웹 애플리케이션 구조 (0) 2021.07.14 프로젝트 환경 설정 (0) 2021.07.12